Git
-
Git-Merge/ConfilctGit 2021. 6. 23. 23:58
병합 브랜치를 생성하는 목적은 원본 코드에 영향을 주지 않고 분리하여 개발하기 위해서입니다. 독립된 브랜치에서 개발 작업이 끝나면 다시 원본 브랜치에 작업한 결과를 반영해야 합니다. 분리된 브랜치를 한 브랜치로 합치는 작업을 병합(합치기)이라고 합니다. 두 코드를 하나씩 직접 비교해가며 수동으로 병합하거나 깃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병합할 수 있습니다. 깃으로 자동 병합 깃의 자동 병합은 원본을 기준으로 두 파일의 변경 이력을 비교한다. 변경된 파일 내용이 발견되면 자동으로 수정된 코드 내용을 병합한다. 깃의 병합은 브랜치를 기준으로 한다. 브랜치는 같은 저장소 내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작업을 분리한 영역이다. 분리된 각각의 브랜치에서 수정된 사항을 하나의 브랜치로 병합한다. 병합하고자 하는 브랜치..
-
Git Branch-2Git 2021. 6. 15. 21:20
브랜치 이동(checkout) 현재 브랜치를 떠나 새로운 브랜치로 돌아간다는 의미, 깃에서 브랜치 간 이동할 때는 checkout 명령어를 사용한다. 깃은 하나의 워킹 디렉터리만 가지고 있다. 워킹 디렉터리는 선택한 브랜치 하나만 연결되어 있다. 즉, 한 브랜치에서만 작업과 커밋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브랜치에서 작업하려면 반드시 브랜치를 변경하여 워킹 디렉터리를 재설정해야 합니다. 브랜치가 변경되면 내부적으로 몇가지 동작이 실행됩니다. HEAD 정보는 항상 변경된 브랜치의 마지막 커밋을 가리킨다. 이처럼 HEAD가 브랜치의 마지막 커밋을 의미하기 때문에 브랜치가 이동하면 HEAD 포인터도 함께 이동한다. 변경된 브랜치로 새로운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워킹 디렉터리를 변경한다. 브랜치를 변경하려면..
-
Git BranchGit 2021. 6. 14. 23:52
깃 브랜치는 기존 폴더를 복제하는 것과 다르게 가상 폴더를 사용하여 개발 작업을 구분합니다. 브랜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 있다. 가상폴더 깃의 브랜치는 작업 폴더를 실제로 복사하지 않고, 가상 폴더로 생성한다. 외부적으로는 물리적인 파일 하나만 있는 것으로 보인다. 생성된 작업 폴더는 물리적으로 복제된 구조보다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다. 브랜치로 생성된 가상 폴더는 빠르게 공간 이동이 가능하고, 개발자는 쉽게 가상 폴더인 브랜치를 이동하면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독립적인 공간 브랜치를 이용하면 원본 폴더와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개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기존에는 소스 코드의 작업 폴더를 별도로 생성했다. 물리적으로 복사된 각자의 폴더에서 코드를 작업 한 후 소스 코드 2개를 다시 하나로 합쳐야..
-
Git - .gitigonreGit 2021. 6. 10. 20:46
gitignore 폴더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특정 파일은 버전 관리 대상에서 제외해야 할 경우가 있다. 예를들어 개인키나, 외부 패키지 등 중요한 설정 정보들은 git 저장소에 추가하지 않는게 보안과 유지 보수성 필요하다. (특히 github등의 공개 장소에 실수로 개인키가 올라가면 해킹을 당할 수 있다) 따라서 git은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무시 목록(ignore list)을 .gitignore에 작성해 해당 파일은 git add명령시 자동으로 제외하게 된다. 아래의 페이지를 이용하면 쉽게 .gitignore폴더안에 들어갈 내용을 생성할 수 있다. https://www.toptal.com/developers/gitignore gitignore.io Create useful .gitignor..
-
Git 과 GitHubGit 2021. 6. 7. 23:11
Git(깃) 이란? (https://git-scm.com/book/ko/v2 공식 홈페이지 참고) Git이란 쉽게 말해 버전 관리를 해주는 시스템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파일 변화를 시간에 따라 기록했다가 나중에 특정 시점의 버전을 다시 꺼내올 수 있다. 깃의 저장공간은 크게 세가지로 구별 가능하다 작업을 하는 공간 임시로 저장하는 공간 실제로 저장하여 기록하는 공간 깃의 다섯 단계 : 초기화, 커밋, 브랜치, 병합, 푸시 초기화 : 폴더를 깃 저장소로 변경한다. 커밋 : 변경된 코드의 이력을 기록한다. (깃의 코드 변화를 기록하는 것 '~를 적어두다' 라는 의미이다. 커밋을 통해 특정 시점으로 돌아가는 것이 가능하다. * 커밋 = 버전이라고 생각해도 좋다. 초기화 : 폴더를 깃 저장소로 변경한다. 브..